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0

일본의 사상 최대 무역적자-엔저와 저금리 문제 일본이 2022년도에 사상 최대규모의 무역적자를 기록했다. 수출액은 전년대비 18.2% 증가한 98조1,862억 엔이었는데, 수입이 39.2% 증가한 118조1,573억 엔이어서 무역적자가 19조9,713억 엔에 달한 것이다. 엔화가 약세인 가운데, 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인한 원자재 가격 급등에 따라 수입액이 크게 늘어난 때문이라고 한다. 일본의 무역수지는 2021년에 이어 2년 연속 적자를 기록하였다. 문제는 높은 물가상승율에도 불구하고 일본은행이 마이너스 금리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대규모 무역적자 상황이 구조적으로 개선되기 어렵다는 점에 있다. 일본의 소비자물가지수는 2022년 11월에 3.7%로서 40년 11개월만에 최고를 기록하였고, 그 다음달인 12월에는 다시 4.0% 수준까지 올라갔.. 2023. 1. 19.
롯데의 스타트업 아이디어 복제-시사와 문제점 롯데그룹의 롯데헬스케어가 스타트업 '알고케어'의 제품 아이디어를 베껴 제품을 만들고 CES에 출품까지 했다고 해서 문제가 되고 있다. 롯데는 그렇지 않다는 입장이지만, 해당 기업과 접촉하고 시제품을 본 사실 자체는 인정하고 있기 때문에 기업윤리 면에서 문제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롯데, 해당기업과 접촉한 사실은 팩트로 인정 문제가 된 제품은 개인 맞춤형 영양제 디스펜서인 '뉴트리션 엔진'으로, 여러 종류의 영양제를 넣으면 사용자의 필요에 맞추어 정해진 양만큼 배출해 주는 기기라고 한다. 스타트업 기업인 알고케어의 주장은 2021년 9월 롯데가 투자와 사업협력을 제안하면서 자사가 개발 중인 시제품을 보고 갔다는 것이다. 이후 롯데에서는 알고케어에 라이선스 비용을 주고 롯데 자체 브랜드로 판매하기를 원했지만.. 2023. 1. 19.
일본항공(JAL) 기내식 사전취소 서비스와 환경 보전 일본항공이 3년 전에 기내식 낭비와 환경오염을 줄이기 위해 도입한 '기내식 사전취소 서비스'가 영국의 '더 미러(The Mirror)'지에 소개되면서 새삼 주목을 받고 있다. 이 서비스의 영문 명칭은 'Ethical Choice Meal Skip Option'인데, 환경을 보전하고 승객들에게 보다 편안한 휴식을 주고자 하는 취지이다. 기내식 사전취소는 원하는 승객이 일본항공 홈페이지에서 탑승 25시간 전까지 '기내식 취소 옵션'을 선택하는 방식으로 적용된다. 기내식 낭비, 생각보다 엄청나다. 일본항공의 '기내식 사전취소 서비스'에 대해서는 승객들의 선호도가 명확히 갈린다. 비판적으로 말하는 입장에서는 "이 서비스가 결국 항공사의 원가절감을 목적으로 하는 것 아니냐"는 것과, "항공여행의 즐거움 중 하나가.. 2023. 1. 18.
일본 전일본공수(ANA) 주 2일 근무제 도입- 내용과 의미 일본의 전일본공수(ANA)가 2024년부터 주 2일 근무제를 도입한다고 한다. 코로나19 이후 항공수요가 급감함에 따라 주 2~3일만 근무하는 탄력근무제를 운영해 왔는데, 팬데믹이 종료되더라도 종전 근무체제로 전면 복귀하는 대신, 근무일수를 축소하는 탄력근무제를 제도화하겠다는 것이다. 그런데, 제목만 보면 대단히 파격적인 것처럼 느껴지지만, 실제 내용상으로는 휴직과 정상근무의 중간 형태를 일부 객실승무원에게 허용하는 정도라고 생각된다. 1. 전일본공수는 일본항공(JAL)보다 큰 일본 내 최대규모 항공사 일본의 항공사 가운데 가장 널리 알려진 것은 일본항공이지만, 현재의 항공사 규모는 전일본공수가 더 크다. 역사적으로는 일본항공이 가장 먼저 설립된 일본의 대표 국적항공사였고, 사업규모도 전일본공수를 늘 앞.. 2023. 1. 16.
우수재활용제품(GR) 인증 제도 소개 부존자원이 빈약한 우리나라는 산업재의 많은 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따라서, 이미 사용된 산업재가 적극 재활용될 수 있도록 제도적으로 뒷받침해 주는 것이 환경보호는 물론, 건전한 국가경제를 위해서도 필요하다. '우수재활용제품(GR) 인증'은 소비자들이 믿고 사용할 수 있도록 재활용 제품의 품질과 친환경성 등을 정부가 인증해 주는 제도로서, 1997년부터 시행되었다. GR 인증 제도의 개요 GR 인증은 산업기술촉진법,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 등에 근거를 두고 있으며, 관련법에 따라 정부나 공공기관 구매조달시 녹색제품을 의무적으로 구매토록 의무화하는 등의 방법으로 GR 인증제품을 지원하고 있다. 인증대상 분야 및 품목은 2022.9.1. 기준으로 총 17개 분야 361종이며, 재활용 확.. 2023. 1. 13.
풍력발전기: 소형-대형 구분과 소형 KS 제품 현황 태양광 발전에 대해 환경오염 가능성 등 여러 문제가 제기되면서 재생에너지의 주도권이 점차 풍력발전 쪽으로 이동하고 있다. 풍력발전은 소형풍력과 중대형풍력으로 나눌 수 있는데, 그 용도 내지 활용 범위가 매우 다르다. 소형-중대형을 구분하는 기준과, 소형풍력 KS 제품 등을 정리해 본다. 소형풍력과 중대형풍력의 구분 기준 우리나라에서의 소형풍력과 중대형풍력 구분 기준에 대하여는 대부분의 자료가 명확한 출처를 제시하지 않으면서 "정격출력 30kW 미만 또는 날개의 회전면적 200제곱미터 미만"으로 기술하고 있는데, 과연 정확한 것인지 의문스러울 때가 있다. 중대형풍력은 소형풍력보다 큰 것을 의미하므로 소형풍력에 대한 기준만 알아도 되는데, 국가나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정격출력 100kW 이하 또는 날.. 2023. 1. 12.